사회초년생으로 장례식장 방문이 처음이라면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 미리 알아본 후에 참석하시는 것이 좋은데요.어떠한 순서로 고인의 넋을 기리는 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먼저, 옷차림은 차분한 검정색, 네이비 색 등의 어두운 계열을 선택해요.※검정 스타킹, 양말 등으로 맨발은 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장례식장에 도착하기 전에 핸드폰은 무음으로 해요.
장례식장으로 들어서면, 조의록(방명록)에 이름을 기재한 후에(소속이 있는 경우, 소속도 기재) 조의금을 넣는데요.
비치된 조의금 봉투에 이름을 세로로 기재 후에 주변에 비치되어 있는 보관함에 넣어줍니다.
다음으로, 고인의 넋을 기리는 의식을 치루는데요.(분향) 향을 오른손으로 집은 후에, 불을 붙일 때 왼손으로 받쳐 들어 붙인 후에살짝 흔들어 불꽃을 꺼준 후에 향로에 꽂습니다.(일반적으로 1개를 사용하지만, 종교에 따라 1~3개 까지 사용한다고 해요.)
※분향은 고인의 혼을 불러들이고 부정을 없앤다는 의미가 있다고 해요.부정을 없애는 의식이기에 입으로 끄는 것은 삼가하는 것이 풍습이니기억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헌화를 할 때는 오른손으로 헌화를 든 후 꽃봉오리가 영정을 향하도록 두어요.고인에게 꽃향기를 전해 드린다는 의미로, 서양에서 전해져 온 풍습이라고 해요.(여러명이 함께 문상을 할 때에는, 한 명이 대표로 헌화 및 분향을 해요.)
다음으로, 뒤로 조금 물러서서 고인을 향해 두 번 절을 하시거나기도를 통해 고인에게 마지막 인사를 건넵니다.※손의 위치는 남성은 오른손을, 여성은 왼손을 위로 두어요.
그리고 옆에 서계신 상주를 향해 한 번 절(또는 목례)을 하며 인사를 나누어요.
첫째 날 또는 둘째 날에 문상을 하며, 셋째 날은 발인을 하여
발인 전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시면 될 것 같아요.
사회초년생인 경우, 이러한 과정이 익숙하지 않아 긴장하기 마련인데요.
미리 예절을 알아두고 간다면 조금 덜 긴장되어
고인을 향해 마음을 담아 애도를 보낼 수 있을 거예요.
'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양가족 공제(기본공제대상자) 조건 알아보기(feat.직계존속·직계비속 뜻) (1) | 2025.07.18 |
---|---|
대출금·대출이자 종합소득세 경비 처리하기(feat.부가세 공제여부) (0) | 2025.07.17 |
부가세 홈텍스 신용·직불·기명식 선불카드, 선불지급수단 기재 내용 (0) | 2025.07.14 |
신용카드 등 사용액 소득공제 항목·가족카드 등록하기 (4) | 2025.07.03 |
이월결손금 공제금액 계산·홈텍스 작성하기(feat.소득종류별 공제순서 적용) (0) | 2025.07.01 |